에테나(ENA), 메가이더(MegaETH)와 협력…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 ‘메가USD(USDm)’ 출시
에테나 랩스(Ethena Labs, $ENA)가 9일 메가이더(MegaETH)와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메가USD(MegaUSD, USDm)'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USDm은 메가이더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 출시는 에테나 랩스가

에테나 랩스(Ethena Labs, $ENA)가 9일 메가이더(MegaETH)와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메가USD(MegaUSD, USDm)'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USDm은 메가이더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 출시는 에테나 랩스가
리플의 엑스알피(XRP) 코인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기관 매수세에 힘입어 3달러 돌파를 시도하며 4% 상승했다. 9월 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에 따르면, XRP는 장중 2.89달러에서 2.995달러까지 상승하며 4% 반등한 뒤 2.95달러에 마감했다. 거래량은 1억 5,963만 개로 평소 대비 3배 가까이 폭증해 기관 자금 유입을 뒷받침했다. 다만 2.995~3.00달러 구간에서
크리에이터 중심의 Web3 팬 커뮤니티 플랫폼 ‘더 팬(THE FAN)’이 9일 LINE SNS를 통해 선공개 되었다. 더 팬 측은 “이번 플랫폼은 LINE 고유의 브랜드 컬러와 SNS 환경에 최적화해 다양한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준비했으며, 단계적 오픈을 통해 LINE 플랫폼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 팬은 크리에이터가 숏폼 영상, 사진, 게시물 등 다양한 유료 콘텐츠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보좌관이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정책 관련 37조4300억달러(약 5경2402조원)에 달하는 국가 부채를 평가절하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8일(현지시각)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안톤 코비야코프 대통령 보좌관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트론(Tron, TRX)이 0.37달러 저항선 돌파 여부를 두고 강세론자와 약세론자의 힘겨루기가 본격화되고 있다. 9월 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AMB크립토에 따르면, 트론은 현재 메이어 멀티플(Mayer Multiple) 1.2배 수준을 방어하며 장기적 지지 기반을 확보했다. 통상 1.0배 이상을 유지하면 중기 확장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이는 하방 위험을 줄이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
중국이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본격 검토하면서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판도 변화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9월 9일(현지시간) 투자 전문매체 FX스트릿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로드맵을 마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는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글로벌 결제 질서에서 위안화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현재 스테
국제 금 가격이 1년 새 45% 이상 오르며 안전자산 투자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디지털 금 거래 플랫폼 ‘비단(Bdan)’이 가입자가 121만명을 넘었다고 9일 밝혔다. 누적 거래액은 1조3130억원에 달한다. 9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12월 인도분 국제 금 선물 가격은
라이트코인(Litecoin, LTC)이 하락 쐐기 패턴을 돌파하며 기술적 반등 신호를 보이는 가운데, 네트워크 사용량 급증과 새로운 프라이버시 지갑 출시 소식이 맞물리며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9월 9일(현지시간) 금융 전문 미디어 FX스트리트에 따르면, 라이트코인재단(Litecoin Foundation)은 아메리칸포트리스(AmericanFortress)와 협력해 새로운 프라이버시 중심 지갑을 9월 출시한다고 발표했
메타 산하 메신저 왓츠앱의 전 보안책임자가 사측을 상대로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관리 부실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다. 8일(현지시각) 크립토폴리탄에 따르면, 아타울라 바익 전 왓츠앱 보안책임자는 미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이 같은 내용의 소송을 제기했다. 그는 메타가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블록체인 기업 두나무가 자체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와'(GIWA)를 발표했다. 기와는 'Global Infrastructure Web3 Access'의 약자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3 인프라를 표방한다. 이를 위해 확장성·신뢰성·유동성·편의성에 개발 초점을 맞췄다는 설명이다.송원준 두나무 크립토프로덕트 리드는 9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된 UDC 2025에서 "기와는 세계에 제시하는 한국 웹3의 새로운 기준"이라며 "누구에게나 열려 있고 쉬우면서 일상 속에서 함께 할 수 있는